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소프트웨어 장인 - 산드로 만쿠소


 



출간일 : 2015년 9월 25일 

328쪽 | 500g | 148*225*14mm

ISBN-13 : 9791186659489

소프트웨어 장인 : 프로페셔널리즘, 실용주의, 자부심 원제로는 The Software Craftsman-Professionalism, Pragmatism, Pride  입니다.

이 책은 로버트 C. 마틴 시리즈로 열한 살부터 코딩을 시작했고 열아홉부터 코딩으로 돈을 번 경험이 있는 브라질 출신의 산드로 만쿠소가 본인의 경험담을 통해서 소프트웨어 장인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는 책입니다.

아는 동생의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며 추천을 해줘서 읽게 된 책이죠.
평소 책을 고를 때 다른 것 보다 무게를 먼저 확인하고 나머지를 고르는 제 버릇때문인지 무게가 가볍다는 것을 먼저 이야기하면서 추천을 해 주더군요.

한동안 기술서적에 손을 못 대고 있는 상황에 있었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슬럼프가 좀 길게 온 탓에 기술 서적을 읽는 것은 물론 코딩 한 줄 손대는 것도 고통스러웠습니다. 회사 일이야 돈 벌어야 하니 어쩔 수 없이 하고 있지만, 집에 와서는 매일 인텔리제이를 켜놓고는 한 줄도 못 짜고 끄는 날이 대부분인 요즘이었습니다. 이럴 때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니 정말 반가웠습니다.  "그래! 이럴 때는 책을 읽으면서 뭔가 계기를 만들어야 해"라는 생각에 보게 되었습니다.

우선 빠르게 한번 읽고 난 다음에 포스트를 쓰고 있습니다. 이 책을 약간의 시간을 두고 한 번 더 읽어볼 생각인데, 아마도 그때는 다른 느낌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부터 이 책을 읽으면서 느꼈던 점들을 지극히 주관적인 입장으로 정리를 한 번 해보려고 합니다.

이 책의 구성을 제 나름대로 보면 대충 아래와 같은 구성입니다.

1~3장은 애자일과 장인 정신에 대한 정의를 찾아가는 여정을 보여줍니다. 어떻게 해서 애자일이 나타났고 어떻게 소프트웨어의 장인정신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습니다.
정의를 마친 저자는 자연스럽게 4장부터 본격적인 장인의 마음가짐과 행동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게 됩니다. 본인의 실제 경험을 적절히 녹여서 이야기를 풀어내려 한 노력이 느껴집니다. 이런 이야기는 1부의 끝인 8장까지 계속됩니다.
2부에서는 9장에서 13장에 걸쳐서 회사를 어떻게 소프트웨어 장인들이 일하는 장소로 만들어 갈 수 있는지 등의 이야기를 주로 풀어냅니다.
그리고는 14장부터 16장까지 개발자가 어떻게 하면 소프트웨어 장인이 되기 위한 긴 여정을 바르게 갈 수 있을지에 대한 방법에 관해서 이야기하면서 책을 마무리합니다.
아! 부록에서 마지막으로 소프트웨어 장인에 대한 오해를 풀어내는 것을 잊지 않았네요.

책을 사면 서문과 추천사는 무조건 먼저 읽는 것이 버릇입니다. 이 책의 추천사는 엉클 밥(로버트 C. 마틴의 별명) 아저씨가 쓰셨습니다. 엉클 밥 시리즈의 책이니 당연하겠죠. 추천사를 읽는 중에 이런 구절이 눈에 들어오더군요.
"아픔에 대한 책이기도 하다. 당신과 나 그리고 모든 프로그래머가 겪는 아픔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수준 이하로 일을 마무리했던 경험, 전혀 프로답지 않았던 경험, 더 나아지고 싶지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랐던 아픔 등에 관한 일화와 그 치유법을 담았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아픔"이 느껴졌던 책입니다.  내 자신이 얼마나 무능력한지 그리고 얼마나 무식한지 그리고 얼마나 게으른지를 뼈저리게 그리고 생생하게 느끼게 해주는 책입니다. 그동안 얼마나 소프트웨어 장인의 길에서 멀어져 왔는지를, 그리고 현재 내 위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게 해 주는 책입니다. 맞습니다. 이 책은 "아픔"에 대한 책이네요. 다른 누구도 아니고 저의 아픔에 대한 책입니다. 추천사와 다르다면 저에겐 과거형이 아니라 현재형이라는 부분만 다를 듯합니다.

책을 읽어가는 내내 마음속으로는 변명을 계속 뱉어내고 있었습니다. 프로젝트 계약에 매여서 다른 방식의 시도 같은 건 꿈에도 꿀 수 없다고... 테스트를 짜고 있는 동안 들어오는 윗분들의 압박을 견디기는 쉽지 않다고... 그런데 그럴 때마다 어김없이 저자는 저의 변명을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해야 할 것을 하지 않은 것은 노력이 부족했을 뿐이라고...

사실 책 제목을 보고는 기분이 많이 안 좋았습니다. 장인이라는 호칭을 달만큼의 능력도 안 되지만 일정 부류의 개발자들이 서로에게 장인이라는 호칭을 달아주고는 으스대는 모습이 생각났거든요. 그런데 이 책은 그런 책은 아니더군요. 여기에서 장인은 프로의식과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프로의식을 가지고 더 나은 개발자가 되고자 노력하는 모습이 이 책이 이야기하고 있는 장인의 모습인 것 같습니다.

또한, 이 책에서는 대부분 내용에서 애자일 방법론에 관해서 이야기하고 있지만, 애자일 방법론이라던가 그 세부 절차인 페어프로그래밍, TDD 등을 맹목적으로 따르라고 하지는 않습니다. 단지, 제대로 된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는데 애자일의 개발방법론이 어떤 이득을 줄 수 있는지를 이야기합니다. 그런 개발방법론은 개발방법론을 따르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한 수단일 뿐이라고 계속해서 강조하면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 책이 정답이라고 이야기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다만 스스로 제대로 된 개발자, 프로로서의 개발자는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일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고민을 해 볼 기회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 책은 누구보다도 3~5년 차의 개발자들에게 읽어보기를 권합니다.
언젠가 그들이 프로젝트를 책임지는 위치가 된다면 절대 저처럼은 살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리고 미리미리 준비해서 프로의식 가득한 개발자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다음은 10년이 넘도록 개발자 또는 개발자 출신의 관리자를 하는 분들께도 권합니다.
제대로 관리하고 제대로 개발을 해서 후배들에게 좋은 본보기로 그리고 좋은 선례로 남을 수 있도록 노력하자는 마음에서.. 그리고 제대로 개발하려고 하는 후배들의 걸림돌이 되지는 말자는 마음에서...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연차가 고참 개발자를 만들어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기를 바라면서...

다음으로 자신 있게 "난 개발자다"라고 이야기하면서 살고 싶은 개발을 사랑하는 모든 개발자에게 권합니다. 정말 제대로 된 프로개발자가 된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해보자는 마음에서...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해서 무거운 마음으로 끝나게 된 책입니다.
이왕 정신 차린 거 TDD부터 하나씩 다시 시작해봐야겠어요. 회사가 언젠가 받아들여 주는 날까지 제 개인 프로젝트들에라도 말이죠.

마지막으로 이 책 정말 가볍습니다. 부록까지 330여 페이지에 무게는 500그램이예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력 개발자의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갑자기 뜬금없이 이런 글을 쓰다니 무슨 생각이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뜬금없음에 대한 변명은 잠시 접어두고 일단 오늘 쓰려고 하는 글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개발자로 대충 16년을 그럭저럭 보내왔습니다. 시대적 상황으로 5년 차쯤에 대리로 처음 팀장을 시작했으니, 일반 개발자로 산 시간보다는 어쨌건 프로젝트 또는 팀의 리더로 산 시간이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 기간 동안 남들보다 좀 심하게 회사를 많이 옮겨 다니다 보니 꽤 많은 면접을 볼 수 있는 경험이 있었고, 또 옮긴 회사가 대부분 팀을 리빌딩하는 곳이었다 보니 꽤 많은 채용절차에 관여할 기회가 있어서 어린 나이부터 비교적 많은 이력서를 검토했고 면접관으로도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처음 면접을 보러 다니던 시절의 제 이력서의 자기소개서는 항상 "19XX년 봄 XX업계에 종사하시던 아버님과 집안일에 헌신적인 어머니의 유복한 가정에 1남 1녀의 막내로..." 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문장에 향수를 느끼시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 경력이 5년이 넘은 어느 날 도대체 이 문장을 왜 써야 하느냐는 의문이 생겨서 조금 바꾸긴 했습니다만, 그 뒤로도 꽤 오랜 세월을 이런 자기소개서가 항상 제 이력서에 붙어있었죠. 요즘 누가 저런 식으로 자기소개서를 써?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실 거로 생각해요. (대신 요즘은 대학 시절의 봉사활동이나 해외연수 이력이... 뭐 어차피 그놈이 그놈입니다.) 저런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는 것이 어디서 어떻게 시작된 것인지는 몰라도 회사를 그만두기 전인 2년 전까지도 약간의 표현은 다를지 모르지만 비슷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자기소개서를 이력서에 첨부해서 보내는 지원자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제가 뜬금없는 이런 글을 쓰게 된 이유를 밝히고 계속 진행해야겠네요. 블로그에 올릴 글을 준비하는 일이 생각보다 힘들어요. 블로그에 올리려고 준비한 주제에 맞는 소스를 작업하고 거기에 글을 입히다 보면 가끔

Springframework 5에서 바뀌는 것들에 대한 간단 정리 및 생각

Spring framework 5 에 대해 많은 분이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계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기대를 하고 계신 분들은 Reactive Programming 지원을 기대하고 계시지 않은가 생각이 드는데요. 7월 초에 John Thompson 이란 분이 D-Zone에 아주 깔끔하고 멋지게 정리를 잘해서 글을 쓰셨더라구요. 해당 글은  https://dzone.com/articles/whats-new-in-spring-framework-5 에서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Spring framework 5에서 달라지는 내용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은 Spring framework github의 wiki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본 포스트는 언제나 그렇듯이 윗글에 대한 번역이 아닙니다. 그저 윗글을 다시 정리하면서 제 생각을 한번 정리해 놓은 포스트입니다. Spring framework 5는 현재 5.0.0.RC2(2017.07.23일 기준)까지 릴리즈된 상황입니다. Spring framework 5에서 크게 변화하는 내용을 John Thompson은 8가지로 깔끔하게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1. JDK 지원 버전의 업데이트 5버전은 원래 JDK 9 버전의 지원을 위해서 시작됐던 프로젝트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JDK 9의 Release가 늦어져서 Spring framework 5가 먼저 Release 될 것으로 보이지만, JDK 9가 Release가 되면 언제건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좀 아쉬운 부분은 JDK의 최소 버전은 JDK 8이라는 부분이 아닐까 싶네요. 이 때문에 Spring framework 5에 무관심한 분들도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JDK 8을 기반으로 합니다만, 최근까지 다니던 회사의 경우는 JDK 7까지가 업그레이드 한계였던 회사였습니다. 아마도 JDK 업그레이드를 쉽게 못 하시는 회사들이 많으니 "나랑은 관계없는 얘기군"

Gradle 을 이용해서 Multiproject 를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

개요 회사에서 Gradle 을 이용하게 된 이래로 계속 Multi-project 형태로 설정하여 진행을 해 오고 있다. 매번 멀티 프로젝트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는 회사의 프로젝트들이다 보니 그때마다 다시 이전 빌드 스크립트를 보면서 만드는데 프로젝트들이 복잡하다보니 필요없는 설정들까지 복사해서 쓰고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한번 정리를 했으면 하고 있었다. 가장 기본적인 상태의 멀티프로젝트용 build.gradle 에 대한 여러가지 방법 중 한가지라 생각하고 참고가 된다면 좋겠다. 요구사항 기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멀티프로젝트는 디렉터리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그룹으로 만들어 질 수 있어야 한다.   - Shared : 다른 프로젝트에서 Dependency로 추가될 수 있는 공통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모듈 그룹   - Web : Front 모듈 그룹   - Server : 주로 어플리케이션 간의 설정 등을 관리하는 Server 모듈 그룹   - Service : Web API 서버 모듈 그룹 2) 모든 Subproject 들은 Java project 이며, 프로젝트 명은 "모듈그룹명-모듈명" 으로 만든다. 즉, Server 모듈의 configuration-server 모듈이라면 server-configuration-server의 형태로 만들어지면 된다. 이후에 작업된 모든 내용은 Ubuntu 14.04 OS와 IntelliJ IDEA 15에서 작업되었다. (윈도우즈와 이클립스에서도 동일한 내용을 동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테스트되지 않았을 뿐이다) Main Gradle Script 작업 1) 파일 구성   - build.gradle : gradle script 파일   - settings.gradle : sub project 관리를 위한 파일 2) build.gradle 파일 작성   - 우선은  프로젝트 기본 정보로 group 정보와 version 을 설정한다. 본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