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의 원문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Embeded Web Server 가 설정되어있지 않으면 EmbeddedWebServerFactoryCustomizerAutoConfiguration이 설정되지 않도록 수정.
관련이슈 #34189
관련이슈 #34659 - StandardConfigDataResource 가 클래스패스에 ‘.’ 을 가지고 있을 경우 같은 파일이 두번 임포트 되는 버그 수정
관련이슈 #34212
관련이슈 #34617 - SnakeYAML 2.0 을 사용하는 경우 application.yml 을 로딩할 때 NoSuchMethodError 를 발생시키는 버그 수정
관련이슈 #34405
관련이슈 #34515 - @ConfigurationProperties annotation 이 mutable Kotlin data classes 에서 동작하지 않는 버그 수정
Gitter 에서 주로 논의가 되었던 부분으로 보이며 해당 내용은 아래에서 Close 되었음
관련이슈 #34500 - podman 으로 build image 를 할때 image build pack 이 설정되어있으면 실패한다는 문제 수정
관련이슈 #34324
관련이슈 #34495 - @ComponetScan 사용할 경우 AOT로 Native Image 를 만들려할때 Fail 현상을 수정
관련이슈 #34371
- JDK 20 지원.
- WebFlux 사용시 Custom error page 에 대한 부분 명확화
- MavenRegistry에서 publishRegistry 를 Terminal Command 로 Configuration 하는 팁에 대한 보강
- Old API 두개에 대한 업데이트
- JdbcConfiguration has been removed in this commit.
- setApplicationContextClass has been removed in this commit.
- JobLauncherApplicationRunner에서 Javadoc에 대한 수정
The JobLauncherApplicationRunner does not launch multiple jobs by the commit - 55d6a87.
The Javadoc in JobLauncherApplicationRunner was not updated. This PR fixed it. - Document how to get socket location for image building configuration with podman #34475
간단히 살펴봤는데 마지막 프로젝트가 2.X 였어서 3.X 의 업데이트가 확 와 닿지는 않네요.
현재 새로 진행할 개인 프로젝트는 3.X 로 진행예정이긴 한데, 워낙 게을러서 언제 시작할 수 있을지...
전체적으로 AOT와 Native Image 관련해서 수정이 좀 많았나봅니다.
최근 추세를 보면 AOT와 Native Image에 Spring Team 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사용해 본적은 없지만 다양한 글들을 보면 아직까지 완벽하지는 않다는 것 같긴 하더군요. 하지만, Spring boot 처음 시작할때도 그랬지만 금방 일반적인 추세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요즘 "Just Enough Software Architecture(적정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 리스크 주도 접근법)" 라는 책을 보고 있습니다. 책을 보다보니 스프링 프로젝트들의 구조라던가 그 소스들에 들어있는 주석들이 아키텍트의 관점의 고민들을 많이 보여주고 있지 않은가 생각하게 되더군요. 최근엔 아키텍트라는 직책이나 직무를 별도로 가지고 있는 회사를 보기 힘들죠. 그만큼 개발자들이 아키텍처에 대해서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스프링 프로젝트들은 고민을 상당히 많이 덜어주기도 하고 그 자체가 또 참고자료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참고로 이 책을 읽으실 분들은 영어 잘하시는 분들은 그냥 원서를 사시고, 혹시 한글 도서로 구매하시는 분들은 전자책으로 원서를 함께 구매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