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영상 공유] Spring Boot 3 and Spring Framework 6...



2주전 IntelliJ IDEA by Jetbrains YouTube 채널에서 라이브로 진행된 Josh Long 의 Bootiful Spring Booot 3 라는 영상입니다.

Spring Boot 3와 Spring Framework 6라고 되어있지만 실제로는 Spring Boot 3 와 향후 약 5년 정도의 방향성 같은 것들을 이야기하는 것 같습니다.

영어권 사람들도 말이 너무 빨라서 따라가는데 어려움을 느낄 정도로 굉장히 빠른 속도로 1시간 정도를 진행합니다.

영어 실력이 미천해서 자동 영어 자막을 켜놓고 겨우 가지 포인트를 잡아냈습니다. 다만, GraalVM 자동 영어 자막에서는 계속 'Gravian' 등으로 표기되네요^^

Spring Boot의 방향성이나 Spring Boot 3 에서의 주요 핵심 포인트 등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꼭 보시면 좋을 영상이라고 생각합니다. 단, Spring Boot 3 의 특징이 이게 다냐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이 영상에서 주요 포인트로 설명된 내용이 아래의 내용이라는 것이지요. Spring Boot 3 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Spring Boot 3 and Spring Framework 6.0 – What’s New (Baeldung) 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JDK 17 의 사용 
아직도 거의 JDK 8 또는 9 기반(물론 Gradle에는 JDK 11 설정이고, 실제 Docker Image도 JDK 11 이긴 했지만...)으로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 저는 정말 부끄러워 몸둘바를 모르겠더군요.

- Micrometer
그렇지 않아도 공부하려고 리스팅 해 놓긴 했었는데, 좀 더 자세히 봐야겠어요. 일단 짧은 설명에 의하면 기존의 Spring Cloud Sleuth 를 대체할 듯 합니다. 예전에 잠깐 본 바로는 단순 대체가 아니라 다양한 장점이 존재하는 것 같았습니다. 빠른 시간안에 살펴봐야 할 것 같아요.

- GraalVM + AOT, Buildpack
이번 영상에서 Josh 가 가장 많은 부분을 투자해서 설명을 진행합니다. 앞으로  Spring Boot 의 발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 같습니다. 그동안 공부 목록 후순위였는데 Spring Boot 3를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하겠다고 생각하면 필수 요소가 될 듯 합니다. 일단 GraalVM과 Spring AOT로 인해서 메모리 사용량, 스타트 타임 등에서 몇 % 라고 딱 잡아서 말할 수는 없지만 엄청난 향상이 됐다고 설명합니다. 예전에 잠깐 본 바로는 런타임에서 검사하는 조건 수가 줄어들고 Reflection이 감소하고 등등의 이점이 있다고 했으니 분명 향상이 될 거라는 생각은 있었는데 Josh의 액션을 보니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어지네요.

- Spring Gateway 와 GraphQL
Spring Gateway의 새로운 Route Builder 옵션과 GraphQL의 연동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최근 프로젝트에서 GraphQL을 쓰고 싶었지만 공부와 경험이 충분하지 못한 상황에서 일정은 촉박하여 결국 쓰지 못한것을 두고두고 후회했었습니다. 이 동영상을 보고나니 저의 무지가 더욱 한심하게 느껴져서 슬퍼지더군요. MSA 를 적용했지만 모든 서비스에서 GraphQL 을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신다면 Gateway에 GraphQL을 적용해 보는 것은 좋은 옵션이 아닐까 생각해 봤습니다. 역시 이 부분도 좀 더 공부해보면 더 넓은 선택 옵션이 되지 않을까 해서 즐거워지네요.

1시간 12분의 시간이 순식간에 사라지는 놀라운 경험을 하실 수 있습니다.

YouTube 에서 직접 보기 : https://www.youtube.com/watch?v=Y2gZz8-yK7Y&list=WL&index=2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력 개발자의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갑자기 뜬금없이 이런 글을 쓰다니 무슨 생각이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뜬금없음에 대한 변명은 잠시 접어두고 일단 오늘 쓰려고 하는 글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개발자로 대충 16년을 그럭저럭 보내왔습니다. 시대적 상황으로 5년 차쯤에 대리로 처음 팀장을 시작했으니, 일반 개발자로 산 시간보다는 어쨌건 프로젝트 또는 팀의 리더로 산 시간이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 기간 동안 남들보다 좀 심하게 회사를 많이 옮겨 다니다 보니 꽤 많은 면접을 볼 수 있는 경험이 있었고, 또 옮긴 회사가 대부분 팀을 리빌딩하는 곳이었다 보니 꽤 많은 채용절차에 관여할 기회가 있어서 어린 나이부터 비교적 많은 이력서를 검토했고 면접관으로도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처음 면접을 보러 다니던 시절의 제 이력서의 자기소개서는 항상 "19XX년 봄 XX업계에 종사하시던 아버님과 집안일에 헌신적인 어머니의 유복한 가정에 1남 1녀의 막내로..." 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문장에 향수를 느끼시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 경력이 5년이 넘은 어느 날 도대체 이 문장을 왜 써야 하느냐는 의문이 생겨서 조금 바꾸긴 했습니다만, 그 뒤로도 꽤 오랜 세월을 이런 자기소개서가 항상 제 이력서에 붙어있었죠. 요즘 누가 저런 식으로 자기소개서를 써?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실 거로 생각해요. (대신 요즘은 대학 시절의 봉사활동이나 해외연수 이력이... 뭐 어차피 그놈이 그놈입니다.) 저런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는 것이 어디서 어떻게 시작된 것인지는 몰라도 회사를 그만두기 전인 2년 전까지도 약간의 표현은 다를지 모르지만 비슷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자기소개서를 이력서에 첨부해서 보내는 지원자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제가 뜬금없는 이런 글을 쓰게 된 이유를 밝히고 계속 진행해야겠네요. 블로그에 올릴 글을 준비하는 일이 생각보다 힘들어요. 블로그에 올리려고 준비한 주제에 맞는 소스를 작업하고 거기에 글을 입히다 보면 가끔 ...

Springframework 5에서 바뀌는 것들에 대한 간단 정리 및 생각

Spring framework 5 에 대해 많은 분이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계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기대를 하고 계신 분들은 Reactive Programming 지원을 기대하고 계시지 않은가 생각이 드는데요. 7월 초에 John Thompson 이란 분이 D-Zone에 아주 깔끔하고 멋지게 정리를 잘해서 글을 쓰셨더라구요. 해당 글은  https://dzone.com/articles/whats-new-in-spring-framework-5 에서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Spring framework 5에서 달라지는 내용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은 Spring framework github의 wiki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본 포스트는 언제나 그렇듯이 윗글에 대한 번역이 아닙니다. 그저 윗글을 다시 정리하면서 제 생각을 한번 정리해 놓은 포스트입니다. Spring framework 5는 현재 5.0.0.RC2(2017.07.23일 기준)까지 릴리즈된 상황입니다. Spring framework 5에서 크게 변화하는 내용을 John Thompson은 8가지로 깔끔하게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1. JDK 지원 버전의 업데이트 5버전은 원래 JDK 9 버전의 지원을 위해서 시작됐던 프로젝트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JDK 9의 Release가 늦어져서 Spring framework 5가 먼저 Release 될 것으로 보이지만, JDK 9가 Release가 되면 언제건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좀 아쉬운 부분은 JDK의 최소 버전은 JDK 8이라는 부분이 아닐까 싶네요. 이 때문에 Spring framework 5에 무관심한 분들도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JDK 8을 기반으로 합니다만, 최근까지 다니던 회사의 경우는 JDK 7까지가 업그레이드 한계였던 회사였습니다. 아마도 JDK 업그레이드를 쉽게 못 하시는 회사들이 많으니 "나랑은 관계없는 얘기군...

자바에서 파일 타입을 확인하는 방법들... 그리고 Apache Tika...

뭐 역시나 내가 직접 조사한 것은 아니고 Java Code Geeks 에서 본 내용에 대한 정리이다. 자세한 사항은 [원문보기]  를 클릭해서 확인하면 된다. 원문에서는 코드와 스크린샷을 포함한 예제를 확인할 수 있으니 내용을 보시고자 하시는 분들은 꼭 원문을 참고하시길... 내가 쓰는 포스트가 대부분 그렇지만, 이 글도 그저 내용을 정리해서 내가 나중에 확인하기 위해 쓰는 글일 뿐... 1. Files.probeContentType(Path)를 이용하는 방법 [JDK 7] 이 방법은 파일 확장자를 이용해서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gif 파일을 png라고 확장자를 주면 png 로 인식한다는 것. 또 확장자가 없는 파일의 경우는 null 을 리턴한다. 2. MimetypesFileTypeMap.getContentType(String) 을 이용하는 방법 [JDK 6] 이 방법은 클래스 명에서 유추가 가능한 것 처럼 Mime type 을 이용한다. 앞서의 경우와 같이 gif 파일을 png 라고 하거나 pdf 파일을 txt 로 하거나 하면 확장자로 판단을 한다. 1번 경우와 다른 점을 이야기하자면 기본적으로 텍스트나 이미지 확장자가 아닌 경우에는 xml 파일을 포함해서 application/octet-stream을 반환한다. 또한 확장자가 없는 파일의 경우도 application/octet-stream을 반환한다. 3. URLConnection.getContentType() 이 방법 역시 확장자에 의한 판단. 대신 null 대신 content/unknown을 반환 4. URLConnection.guessContentTypeFromName(String) 역시 확장자. 3번과 다른 것은 null을 반환. 5. URLConnection.guessContentTypeFromStream(InputStream) 예제에서는 전부 null 을 반환.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여기서 매개변수로 주어진 InputStream은 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