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Docker Container OS Timezone 설정

정말 오랜만에 글을 올리는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쓰는 포스트인데 정말 단순한 내용이라 좀 쑥스럽네요.

그동안 집안일과 여러 가지 일이 겹치면서 개인 작업도 진행을 거의 못했고, 역시나 블로그에 글을 올릴 여유도 없었네요. 역시 가화만사성인가 봅니다.

오늘 포스트는 정말 간단한 내용입니다.
최근 그동안 작업하던 프로젝트의 테스트 서버 설정이 있었습니다.
테스트 서버는 Google의 Compute Engine을 이용했고 OS는 Ubuntu xenial을 이용했습니다.
사실은 Google Container Engine을 쓰고 싶었는데, 역시나 가격 문제를 무시할 수 없으므로 하나의 Instance에 여러 개의 Docker container를 docker-compose를 이용해서 실행하기로 했습니다.

설정을 끝내고 docker-compose up -d를 하고 이런저런 테스트를 진행하다 보니 timezone 설정이 UTC라 서버 시간이 다르게 들어가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철저히 국내용 프로그램이다 보니 작업할 때 굳이 UTC를 고려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짰거든요. 뭐 제 실력이 미천하기 때문이기도 하고요.

일단 Docker Container OS의 timezone을 맞추면 매우 간단히 해결되는 단순한 문제였습니다.
보통 검색을 통해 찾게 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Set timezone as specified in /config/etc/timezone
echo "Asia/Singapore" > /etc/timezone
dpkg-reconfigure -f noninteractive tzdata

또는 다음과 같습니다.

ln -sn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echo "Asia/Seoul" > /etc/timezone

뭐 비슷한 내용입니다.

그래서  Dockerfile에 아래와 같은 라인을 넣어봤습니다.

........

RUN ln -snf /usr/share/zoneinfo/Asia/Seoul /etc/localtime && \
    echo "Asia/Seoul" > /etc/timezone

........

현재 사용하고 있는 Docker base image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debian:stretch-slim이고, 다른 하나는 ubuntu:xenial입니다.

여기까지 하고 docker build를 하고 run을 해 봤습니다.
debian:stretch-slim에서는 date 명령어를 통해서 정확히 KST의 시간을 보여줘서 해결됐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ubuntu:xenial 을 이용한 container에서는 계속해서 UTC 시간을 보여주더군요.
해당 Container에 bash로 접속해서 /etc/timezone의 내용도 보고 ls -al /etc/localtime의 결과도 확인을 해 봤습니다. 설정은 제대로 되어있더군요. 하지만 결과는 UTC입니다.

build 도 다시 해보고 하다가 안돼서 ubuntu:xenial base image를 이용해서 bash로 들어가 봤습니다.
확인해보니 /usr/share/zoneinfo 디렉터리 자체가 없더군요. 그러니 Symbolic link를 만든 것도 깨져있는 상황이겠지요. 당연히 timezone 설정은 정상적으로 되어있지 않겠고요.

무식하면 손발이 고생한다고 잠시 패닉상태였습니다만, 사실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한 것이었습니다.

일단 Dockerfile에서 위의 설정 부분을 모두 제거한 상태로 다시 build 했습니다. 되지도 않는 내용 괜히 남겨놓을 필요는 없으니까요.

다음은 GCE의 Ubuntu OS Timezone 설정을 Asia/Seoul로 변경을 했어요.
물론 위 명령어를 이용했습니다.

마지막으로 docker-compose.yml에 서비스마다 아래의 Volume 설정을 추가했습니다.

    volumes:
      - "/etc/timezone:/etc/timezone:ro"
      - "/etc/localtime:/etc/localtime:ro"

위와 같이 실행하면 Host OS의 timezone 설정을 그대로 따라가게 됩니다.
저는 docker-compose.yml을 이용했습니다만, docker run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v 또는 --volume 옵션을 이용하시면 같은 결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너무나 간단한 것을 몰라서 정말 오랜 시간 헤맸습니다.

혹시 저처럼 간단한 문제로 인해서 헤매시는 분들이 있으시면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 한 가지만 더 말씀드리면 GCE에서 Docker를 사용하실 분들이라면 Container-Optimized OS 라는 것이 있더군요. Google Container Registry를 이용한다거나 다른 Google의 Container 관련 서비스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최적화한 OS로 보입니다. 저도 사용해 본 적은 없습니다만, 고려해 볼 만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오늘 아침에 처음 봐서 아직 저도 자세히 확인해 볼 여유는 없었습니다.)

댓글

  1. timezone 설정 적어주신 코드 자세히보면 Aisa/Korea 라고 되어있는데 오타아닌가요? Asia라고 나와야할텐데..

    답글삭제
  2. 오타가 있었네요. 말씀해주신대로 Asia/Korea가 맞습니다. 글 내용도 수정했습니다.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답글삭제

댓글 쓰기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력 개발자의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갑자기 뜬금없이 이런 글을 쓰다니 무슨 생각이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뜬금없음에 대한 변명은 잠시 접어두고 일단 오늘 쓰려고 하는 글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개발자로 대충 16년을 그럭저럭 보내왔습니다. 시대적 상황으로 5년 차쯤에 대리로 처음 팀장을 시작했으니, 일반 개발자로 산 시간보다는 어쨌건 프로젝트 또는 팀의 리더로 산 시간이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 기간 동안 남들보다 좀 심하게 회사를 많이 옮겨 다니다 보니 꽤 많은 면접을 볼 수 있는 경험이 있었고, 또 옮긴 회사가 대부분 팀을 리빌딩하는 곳이었다 보니 꽤 많은 채용절차에 관여할 기회가 있어서 어린 나이부터 비교적 많은 이력서를 검토했고 면접관으로도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처음 면접을 보러 다니던 시절의 제 이력서의 자기소개서는 항상 "19XX년 봄 XX업계에 종사하시던 아버님과 집안일에 헌신적인 어머니의 유복한 가정에 1남 1녀의 막내로..." 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문장에 향수를 느끼시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 경력이 5년이 넘은 어느 날 도대체 이 문장을 왜 써야 하느냐는 의문이 생겨서 조금 바꾸긴 했습니다만, 그 뒤로도 꽤 오랜 세월을 이런 자기소개서가 항상 제 이력서에 붙어있었죠. 요즘 누가 저런 식으로 자기소개서를 써?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실 거로 생각해요. (대신 요즘은 대학 시절의 봉사활동이나 해외연수 이력이... 뭐 어차피 그놈이 그놈입니다.) 저런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는 것이 어디서 어떻게 시작된 것인지는 몰라도 회사를 그만두기 전인 2년 전까지도 약간의 표현은 다를지 모르지만 비슷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자기소개서를 이력서에 첨부해서 보내는 지원자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제가 뜬금없는 이런 글을 쓰게 된 이유를 밝히고 계속 진행해야겠네요. 블로그에 올릴 글을 준비하는 일이 생각보다 힘들어요. 블로그에 올리려고 준비한 주제에 맞는 소스를 작업하고 거기에 글을 입히다 보면 가끔

Springframework 5에서 바뀌는 것들에 대한 간단 정리 및 생각

Spring framework 5 에 대해 많은 분이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계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기대를 하고 계신 분들은 Reactive Programming 지원을 기대하고 계시지 않은가 생각이 드는데요. 7월 초에 John Thompson 이란 분이 D-Zone에 아주 깔끔하고 멋지게 정리를 잘해서 글을 쓰셨더라구요. 해당 글은  https://dzone.com/articles/whats-new-in-spring-framework-5 에서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Spring framework 5에서 달라지는 내용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은 Spring framework github의 wiki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본 포스트는 언제나 그렇듯이 윗글에 대한 번역이 아닙니다. 그저 윗글을 다시 정리하면서 제 생각을 한번 정리해 놓은 포스트입니다. Spring framework 5는 현재 5.0.0.RC2(2017.07.23일 기준)까지 릴리즈된 상황입니다. Spring framework 5에서 크게 변화하는 내용을 John Thompson은 8가지로 깔끔하게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1. JDK 지원 버전의 업데이트 5버전은 원래 JDK 9 버전의 지원을 위해서 시작됐던 프로젝트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JDK 9의 Release가 늦어져서 Spring framework 5가 먼저 Release 될 것으로 보이지만, JDK 9가 Release가 되면 언제건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좀 아쉬운 부분은 JDK의 최소 버전은 JDK 8이라는 부분이 아닐까 싶네요. 이 때문에 Spring framework 5에 무관심한 분들도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JDK 8을 기반으로 합니다만, 최근까지 다니던 회사의 경우는 JDK 7까지가 업그레이드 한계였던 회사였습니다. 아마도 JDK 업그레이드를 쉽게 못 하시는 회사들이 많으니 "나랑은 관계없는 얘기군"

Gradle 을 이용해서 Multiproject 를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

개요 회사에서 Gradle 을 이용하게 된 이래로 계속 Multi-project 형태로 설정하여 진행을 해 오고 있다. 매번 멀티 프로젝트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는 회사의 프로젝트들이다 보니 그때마다 다시 이전 빌드 스크립트를 보면서 만드는데 프로젝트들이 복잡하다보니 필요없는 설정들까지 복사해서 쓰고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한번 정리를 했으면 하고 있었다. 가장 기본적인 상태의 멀티프로젝트용 build.gradle 에 대한 여러가지 방법 중 한가지라 생각하고 참고가 된다면 좋겠다. 요구사항 기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멀티프로젝트는 디렉터리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그룹으로 만들어 질 수 있어야 한다.   - Shared : 다른 프로젝트에서 Dependency로 추가될 수 있는 공통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모듈 그룹   - Web : Front 모듈 그룹   - Server : 주로 어플리케이션 간의 설정 등을 관리하는 Server 모듈 그룹   - Service : Web API 서버 모듈 그룹 2) 모든 Subproject 들은 Java project 이며, 프로젝트 명은 "모듈그룹명-모듈명" 으로 만든다. 즉, Server 모듈의 configuration-server 모듈이라면 server-configuration-server의 형태로 만들어지면 된다. 이후에 작업된 모든 내용은 Ubuntu 14.04 OS와 IntelliJ IDEA 15에서 작업되었다. (윈도우즈와 이클립스에서도 동일한 내용을 동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테스트되지 않았을 뿐이다) Main Gradle Script 작업 1) 파일 구성   - build.gradle : gradle script 파일   - settings.gradle : sub project 관리를 위한 파일 2) build.gradle 파일 작성   - 우선은  프로젝트 기본 정보로 group 정보와 version 을 설정한다. 본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