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TED Talk 소개] 조직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받기만 하는 자를 솎아내는 것이다.

최근에 회사라는 조직에서 떨궈져 나와서 홀로 작업을 진행하게 되다 보니 조직에 있을 때의 제 모습을 돌아보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네요.
서버 측 API 작업은 기본이고 그 외에도 UI 레이아웃, 자바스크립트, CSS 등등... 회사에 있을 때도 일정 부분 작업을 안 하던 것들은 아니지만 모든 것을 혼자서 직접 해야 할 때 특히 그런 생각들이 드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TED에서 조직 내의 세 가지 타입의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은 TED 하나를 소개해 볼까 합니다. 애덤 그랜트라는 와튼 대학교의 교수이고 우리에겐 기브 앤 테이크라는 책의 저자로 친숙한 사람입니다. 사실 저도 이 책을 아직 읽지는 않았는데 위시리스트에는 들어가 있는 책이더군요.

애덤 그랜트는 베푸는 사람(giver)과 받기만 하는 사람(taker), 그리고 대부분을 차지하는 맞추는 사람(matcher)에 관해서 이야기를 합니다.
어떻게 하면 베푸는 사람이 성공할 수 있는 조직(또는 사회)을 만들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이유는 베푸는 사람이 가장 저조한 성과를 내지만 또한 가장 높은 성과를 내기도 한다는 것이지요. 즉, 베푸는 사람이 많은 조직일수록 성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베푸는 사람이 성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합니다.
  1. 베푸는 사람이 지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도움 요청을 장려한다.
  3. 조직 내에 맞는 사람을 뽑아야 한다.
뭐 다 좋은 이야기인데 이 TED에서 제 시선을 가장 끌었던 부분은 조직이 성공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베푸는 사람을 더 많이 뽑는 것이 아니라 받기만 하는 사람을 솎아내는 것이라는 부분이었습니다.
영상에서는 썩은 사과 하나가 한 통을 망치지만 양질의 달걀 하나가 양질의 한판을 만들지는 않는다고 이야기하네요. 즉, 받기만 하는 사람이 조직에 들어오면 베푸는 사람들이 주는 것을 멈추게 된다는 것이지요. 반면에, 베푸는 사람 하나를 조직에 투입했다고 해서 조직의 문화가 베푸는 문화가 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냥 다른 사람들이 "오~~좋은데!! 저 사람이 일을 다 해~~" 라고 생각한다네요.
영상을 보다가 조금 뜨끔했습니다. "나는 베푸는 쪽인가 받기만 하는 쪽인가?". 절대 객관적일 수 없지만 나름 객관적으로 생각을 해보자면 전 matcher 정도는 되지 않았나 생각했습니다.

사실 이 받기만 하는 사람을 알아내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닙니다. 영상에서도 그런 이야기가 나오는데 특히 면접에서 알아내는 것은 더욱 힘들죠. 그래서 애덤 그랜트가 주로 쓰는 방법 한 가지를 이야기합니다. "당신의 경력을 근본적으로 향상시킨 네 분의 이름을 이야기하세요". 이 때 영향력 있고 유명한 사람으로 네 사람의 이름을 이야기한다면 받기만 하는 사람이고 더 낮은 서열의 사람을 언급한다면 그 사람은 베푸는 사람일 것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헉!! 했습니다.
제게 저 질문이 왔다면 아마도 마틴 파울러, 엉클 밥, 켄트벡, 에릭 에반스 등등... 이런 사람들을 이야기했을지도 모르겠네요. 오~~ 역시 저도 받기만 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래서 곰곰이 생각하다 보니 10여 년 전 처음 팀장을 맡던 시절 미숙한 팀장 밑에서 제 억지를 받아주며 묵묵히 일해줬던 동생들의 모습이 보였습니다. 스스로 실력이 있다고 착각하고 좌충우돌하는 저를 그래도 믿어주고 밀어줬던 선배들의 모습도 보이더군요. 매번 혼자 일 다 하는 양 굴면서 멋대로 행동하는 저와 함께 손발을 맞춰주던 동료들의 얼굴이 보였습니다. 뭐 이런 허울 좋은, 그저 번지르르한 이런 말 쓰는 게 정말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만, 영상을 본 후 잠깐은 그랬습니다.

다음 번 책 구입 때 위시리스트에 있는 기브 앤 테이크를 꺼내서 구입 목록에 넣어봐야겠습니다.


한글 자막과 함께 TED에서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Adam Grant: Are you a giver or a taker?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력 개발자의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갑자기 뜬금없이 이런 글을 쓰다니 무슨 생각이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뜬금없음에 대한 변명은 잠시 접어두고 일단 오늘 쓰려고 하는 글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개발자로 대충 16년을 그럭저럭 보내왔습니다. 시대적 상황으로 5년 차쯤에 대리로 처음 팀장을 시작했으니, 일반 개발자로 산 시간보다는 어쨌건 프로젝트 또는 팀의 리더로 산 시간이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 기간 동안 남들보다 좀 심하게 회사를 많이 옮겨 다니다 보니 꽤 많은 면접을 볼 수 있는 경험이 있었고, 또 옮긴 회사가 대부분 팀을 리빌딩하는 곳이었다 보니 꽤 많은 채용절차에 관여할 기회가 있어서 어린 나이부터 비교적 많은 이력서를 검토했고 면접관으로도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처음 면접을 보러 다니던 시절의 제 이력서의 자기소개서는 항상 "19XX년 봄 XX업계에 종사하시던 아버님과 집안일에 헌신적인 어머니의 유복한 가정에 1남 1녀의 막내로..." 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문장에 향수를 느끼시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 경력이 5년이 넘은 어느 날 도대체 이 문장을 왜 써야 하느냐는 의문이 생겨서 조금 바꾸긴 했습니다만, 그 뒤로도 꽤 오랜 세월을 이런 자기소개서가 항상 제 이력서에 붙어있었죠. 요즘 누가 저런 식으로 자기소개서를 써?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실 거로 생각해요. (대신 요즘은 대학 시절의 봉사활동이나 해외연수 이력이... 뭐 어차피 그놈이 그놈입니다.) 저런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는 것이 어디서 어떻게 시작된 것인지는 몰라도 회사를 그만두기 전인 2년 전까지도 약간의 표현은 다를지 모르지만 비슷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자기소개서를 이력서에 첨부해서 보내는 지원자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제가 뜬금없는 이런 글을 쓰게 된 이유를 밝히고 계속 진행해야겠네요. 블로그에 올릴 글을 준비하는 일이 생각보다 힘들어요. 블로그에 올리려고 준비한 주제에 맞는 소스를 작업하고 거기에 글을 입히다 보면 가끔

Springframework 5에서 바뀌는 것들에 대한 간단 정리 및 생각

Spring framework 5 에 대해 많은 분이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계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기대를 하고 계신 분들은 Reactive Programming 지원을 기대하고 계시지 않은가 생각이 드는데요. 7월 초에 John Thompson 이란 분이 D-Zone에 아주 깔끔하고 멋지게 정리를 잘해서 글을 쓰셨더라구요. 해당 글은  https://dzone.com/articles/whats-new-in-spring-framework-5 에서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Spring framework 5에서 달라지는 내용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은 Spring framework github의 wiki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본 포스트는 언제나 그렇듯이 윗글에 대한 번역이 아닙니다. 그저 윗글을 다시 정리하면서 제 생각을 한번 정리해 놓은 포스트입니다. Spring framework 5는 현재 5.0.0.RC2(2017.07.23일 기준)까지 릴리즈된 상황입니다. Spring framework 5에서 크게 변화하는 내용을 John Thompson은 8가지로 깔끔하게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1. JDK 지원 버전의 업데이트 5버전은 원래 JDK 9 버전의 지원을 위해서 시작됐던 프로젝트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JDK 9의 Release가 늦어져서 Spring framework 5가 먼저 Release 될 것으로 보이지만, JDK 9가 Release가 되면 언제건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좀 아쉬운 부분은 JDK의 최소 버전은 JDK 8이라는 부분이 아닐까 싶네요. 이 때문에 Spring framework 5에 무관심한 분들도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JDK 8을 기반으로 합니다만, 최근까지 다니던 회사의 경우는 JDK 7까지가 업그레이드 한계였던 회사였습니다. 아마도 JDK 업그레이드를 쉽게 못 하시는 회사들이 많으니 "나랑은 관계없는 얘기군"

자바에서 파일 타입을 확인하는 방법들... 그리고 Apache Tika...

뭐 역시나 내가 직접 조사한 것은 아니고 Java Code Geeks 에서 본 내용에 대한 정리이다. 자세한 사항은 [원문보기]  를 클릭해서 확인하면 된다. 원문에서는 코드와 스크린샷을 포함한 예제를 확인할 수 있으니 내용을 보시고자 하시는 분들은 꼭 원문을 참고하시길... 내가 쓰는 포스트가 대부분 그렇지만, 이 글도 그저 내용을 정리해서 내가 나중에 확인하기 위해 쓰는 글일 뿐... 1. Files.probeContentType(Path)를 이용하는 방법 [JDK 7] 이 방법은 파일 확장자를 이용해서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gif 파일을 png라고 확장자를 주면 png 로 인식한다는 것. 또 확장자가 없는 파일의 경우는 null 을 리턴한다. 2. MimetypesFileTypeMap.getContentType(String) 을 이용하는 방법 [JDK 6] 이 방법은 클래스 명에서 유추가 가능한 것 처럼 Mime type 을 이용한다. 앞서의 경우와 같이 gif 파일을 png 라고 하거나 pdf 파일을 txt 로 하거나 하면 확장자로 판단을 한다. 1번 경우와 다른 점을 이야기하자면 기본적으로 텍스트나 이미지 확장자가 아닌 경우에는 xml 파일을 포함해서 application/octet-stream을 반환한다. 또한 확장자가 없는 파일의 경우도 application/octet-stream을 반환한다. 3. URLConnection.getContentType() 이 방법 역시 확장자에 의한 판단. 대신 null 대신 content/unknown을 반환 4. URLConnection.guessContentTypeFromName(String) 역시 확장자. 3번과 다른 것은 null을 반환. 5. URLConnection.guessContentTypeFromStream(InputStream) 예제에서는 전부 null 을 반환.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여기서 매개변수로 주어진 InputStream은 marks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