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피닉스 프로젝트


추석 맞이 독서 2탄 피닉스 프로젝트!!

엉망이 되버린 프로젝트가 있는 자동차 부품을 만드는 커다란 회사에 IT 운영팀의 한 팀장이 IT 운영사업부를 맡는 직책으로 원치않는 승진을 하게 되고, 그 이후에 조금씩 공부하고 준비하면서 IT 조직 넓게는 회사를 정상화 시켜나가는 고군분투를 담은 소설책(을 빙자한 DevOps와 애자일을 설명하는 책)

우선은 무엇보다도 아무리 좋게 이야기 한다고 해도 번역을 잘했다고 이야기할 수는 없다.
최소한의 IT 지식이나, 이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칸반이나 린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번역했다고 보기에는 너무나도 부족함이 많은 책이다.

영어에 어려움이 없는 사람이라면 원서를 읽어보기를 권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수많은 오역을 감수하고라도 한번 읽어볼 것을 권하고 싶다.

개발자(Ops 를 포함한), 기획자, 경영자 누구라도 상관없이 회사에 작은 IT 시스템 하나라도 가진 사람이라면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이다.

간단히 말해서 제목에서도 보이지만 이 책은 DevOps와 애자일에 관한 이야기이다.

회사가 어떻게 DevOps 에 대한 필요성을 가지고 DevOps를 도입하면서 엉망인 단계에서 괜찮은 IT 시스템을 보유한 회사로 발전해 가는지에 대한 이야기이면서, 애자일이 어떻게 회사의 IT 조직들에게 이점을 줄 수 있는지를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다.

단순히 어떻게 해야해 라는 것보다 왜 그렇게 되어가고 있어야 하고 왜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는 지를 소설로 풀어낸 책이다.

물론 중간 중간 조금은 억지스러운 부분들이 없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억지주장이니 무시하자고 할 수도 없는 내용들이다.

내가 개발자라 그런지 몰라도 항상 DevOps 라거나 애자일이라거나 하는 이야기들은 모두 개발을 기준으로해서 발전해 가곤 했다. 대부분의 책들도 그런 관점에서 쓰여져 있기도 했고.

하지만, 이 책은 Ops의 관점에서 DevOps로 발전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렇게 하건 저렇게 하건 결국 요구하는 결과를 비슷한 것이지만, 과정과 착안점은 상당히 참신했다. 어쩌면 Ops의 관점에서 시작하는 게 맞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런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같은 근시안 적 시야를 가진 나에게 책을 읽어나가면서 결국 모든 것은 회사가 비즈니스를 유지하고 발전시켜서 회사의 비즈니스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IT 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야기해 주고 있다.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이면서도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모두가 간과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겪었던 일이 생각났다.

커스터머는 일자만 정해놓고는 최소한의 요구사항조차 제대도 정리하지 못하고 있고, 기획자와 함께 막판까지 별로 중요할 것 같지 않은 디자인 틀어진 부분만을 버그리포트로 넘겨주고, 개발자들은 사용자에게 무엇을 전해줄 지 생각하지 않고 그저 난 정확하게 데이터를 파싱했으니 내 할 일 끝났다고 생각하는 총체적 난국 속에서 PM은 그저 오픈 일정만 맞추면 된다고 하고 있는 상황. 나를 비롯한 어느 누구도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를 전해줘서 어떤 비즈니스 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무관심한 프로젝트. 우리는 SI 이니까 라고 생각하기엔 너무나도 부끄러운 상황.

누구를 탓하고 싶지는 않지만, 이 책을 읽다보니 그래도 이 책 주인공 빌은 행복한 사람이 아닐까 생각했다.

더 쓰면 넋두리가 될 것 같으니 이 쯤에서 마무리.

몇 년 전부터 우리 나라에서도 화제가 되고 있는 DevOps 이야기를 흔한 DevOps 라는 용어 한 번 등장시키지 않고(물론 마지막 부분에는 나온다) 이야기를 풀어낸 저자에게 경의를 표한다.

[원서 정보]

원제 : The Phoenix Project: A Novel about IT, DevOps, and Helping Your Business Win

저자 : Gene Kim,  Kevin Behr, George Spafford

ISBN-10 : 0988262592

ISBN-13 : 978-0988262591

[번역서 정보]

제목 : 피닉스 프로젝트: 비즈니스를 승리로 이끄는 IT와 DevOps 이야기

옮긴이 : 조형준

ISBN-10 : 8965400759

ISBN-13 : 978-8965400752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력 개발자의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갑자기 뜬금없이 이런 글을 쓰다니 무슨 생각이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뜬금없음에 대한 변명은 잠시 접어두고 일단 오늘 쓰려고 하는 글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개발자로 대충 16년을 그럭저럭 보내왔습니다. 시대적 상황으로 5년 차쯤에 대리로 처음 팀장을 시작했으니, 일반 개발자로 산 시간보다는 어쨌건 프로젝트 또는 팀의 리더로 산 시간이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 기간 동안 남들보다 좀 심하게 회사를 많이 옮겨 다니다 보니 꽤 많은 면접을 볼 수 있는 경험이 있었고, 또 옮긴 회사가 대부분 팀을 리빌딩하는 곳이었다 보니 꽤 많은 채용절차에 관여할 기회가 있어서 어린 나이부터 비교적 많은 이력서를 검토했고 면접관으로도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처음 면접을 보러 다니던 시절의 제 이력서의 자기소개서는 항상 "19XX년 봄 XX업계에 종사하시던 아버님과 집안일에 헌신적인 어머니의 유복한 가정에 1남 1녀의 막내로..." 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문장에 향수를 느끼시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 경력이 5년이 넘은 어느 날 도대체 이 문장을 왜 써야 하느냐는 의문이 생겨서 조금 바꾸긴 했습니다만, 그 뒤로도 꽤 오랜 세월을 이런 자기소개서가 항상 제 이력서에 붙어있었죠. 요즘 누가 저런 식으로 자기소개서를 써?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실 거로 생각해요. (대신 요즘은 대학 시절의 봉사활동이나 해외연수 이력이... 뭐 어차피 그놈이 그놈입니다.) 저런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는 것이 어디서 어떻게 시작된 것인지는 몰라도 회사를 그만두기 전인 2년 전까지도 약간의 표현은 다를지 모르지만 비슷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자기소개서를 이력서에 첨부해서 보내는 지원자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제가 뜬금없는 이런 글을 쓰게 된 이유를 밝히고 계속 진행해야겠네요. 블로그에 올릴 글을 준비하는 일이 생각보다 힘들어요. 블로그에 올리려고 준비한 주제에 맞는 소스를 작업하고 거기에 글을 입히다 보면 가끔

Springframework 5에서 바뀌는 것들에 대한 간단 정리 및 생각

Spring framework 5 에 대해 많은 분이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계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기대를 하고 계신 분들은 Reactive Programming 지원을 기대하고 계시지 않은가 생각이 드는데요. 7월 초에 John Thompson 이란 분이 D-Zone에 아주 깔끔하고 멋지게 정리를 잘해서 글을 쓰셨더라구요. 해당 글은  https://dzone.com/articles/whats-new-in-spring-framework-5 에서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Spring framework 5에서 달라지는 내용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은 Spring framework github의 wiki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본 포스트는 언제나 그렇듯이 윗글에 대한 번역이 아닙니다. 그저 윗글을 다시 정리하면서 제 생각을 한번 정리해 놓은 포스트입니다. Spring framework 5는 현재 5.0.0.RC2(2017.07.23일 기준)까지 릴리즈된 상황입니다. Spring framework 5에서 크게 변화하는 내용을 John Thompson은 8가지로 깔끔하게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1. JDK 지원 버전의 업데이트 5버전은 원래 JDK 9 버전의 지원을 위해서 시작됐던 프로젝트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JDK 9의 Release가 늦어져서 Spring framework 5가 먼저 Release 될 것으로 보이지만, JDK 9가 Release가 되면 언제건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좀 아쉬운 부분은 JDK의 최소 버전은 JDK 8이라는 부분이 아닐까 싶네요. 이 때문에 Spring framework 5에 무관심한 분들도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JDK 8을 기반으로 합니다만, 최근까지 다니던 회사의 경우는 JDK 7까지가 업그레이드 한계였던 회사였습니다. 아마도 JDK 업그레이드를 쉽게 못 하시는 회사들이 많으니 "나랑은 관계없는 얘기군"

Gradle 을 이용해서 Multiproject 를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

개요 회사에서 Gradle 을 이용하게 된 이래로 계속 Multi-project 형태로 설정하여 진행을 해 오고 있다. 매번 멀티 프로젝트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는 회사의 프로젝트들이다 보니 그때마다 다시 이전 빌드 스크립트를 보면서 만드는데 프로젝트들이 복잡하다보니 필요없는 설정들까지 복사해서 쓰고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한번 정리를 했으면 하고 있었다. 가장 기본적인 상태의 멀티프로젝트용 build.gradle 에 대한 여러가지 방법 중 한가지라 생각하고 참고가 된다면 좋겠다. 요구사항 기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멀티프로젝트는 디렉터리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그룹으로 만들어 질 수 있어야 한다.   - Shared : 다른 프로젝트에서 Dependency로 추가될 수 있는 공통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모듈 그룹   - Web : Front 모듈 그룹   - Server : 주로 어플리케이션 간의 설정 등을 관리하는 Server 모듈 그룹   - Service : Web API 서버 모듈 그룹 2) 모든 Subproject 들은 Java project 이며, 프로젝트 명은 "모듈그룹명-모듈명" 으로 만든다. 즉, Server 모듈의 configuration-server 모듈이라면 server-configuration-server의 형태로 만들어지면 된다. 이후에 작업된 모든 내용은 Ubuntu 14.04 OS와 IntelliJ IDEA 15에서 작업되었다. (윈도우즈와 이클립스에서도 동일한 내용을 동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테스트되지 않았을 뿐이다) Main Gradle Script 작업 1) 파일 구성   - build.gradle : gradle script 파일   - settings.gradle : sub project 관리를 위한 파일 2) build.gradle 파일 작성   - 우선은  프로젝트 기본 정보로 group 정보와 version 을 설정한다. 본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