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정보공유] Working with Virtual Threads in Spring 6 - baeldung blog



최근 Baeldung 의 Author 들이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최근에 여러가지 이슈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도 같습니다.

최근 Jdk 의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포스트나 유튜브를 보다가 관심이 갔던 부분 중 하나가 Virtual Threads  부분이었습니다. 특히나 Spring Framework 의 TaskExecuteor에 어떤 식으로 포함이 될 지 궁금하면서도 찾아보지는 않았네요.(게으른것도 있지만 요즘 프로그램 기초편을 다시 공부중이라 정신이 없네요)

Baeldung Team 에서 뭔가 해주지 않을까 했는데 드디어 Post가 올라왔습니다.

해당 포스트로 넘어가는 링크 보기 전에 잠시 Virtual Thread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Java Virtual Threads (JVTs)

JVTs 는 Java 19 에서 새롭게 포함된 새로운 기능입니다. Platform Threads의 대안으로 등장했고, Platform Threads 보다 경령의 Thread로서 제안되었는데, 이 프로젝트는 Project Loom에 의해서 발전하고 있습니다.

JVTs는 자바 가상 머신 (JVM)에서 관리되는 Thread model로 특정 OS Threads 에 바인딩되어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Platform Thread 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하다는 설명입니다. 일단 스펙 설명만으로 보면 Threads의 생성(created)과 소멸(destroyed)이 On-demand 로 동작하기 때문에 좀 더 Scalable하다고 합니다. 이는 높은 병렬처리(High-concurrency) application 즉 대규모 threads 가 필요한 application에 적합하다고 하네요. 

또한 JVTs는 연속성(continuations) 및 가상스택 프레임(virtualized stack frames)과 같은 다른 기능을 포함한다고도 하는데 이 부분은 무슨 이야기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아직 실험(experiment) 수준으로 앞으로의 행보를 잘 따라가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최종적으로 어떨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Platform Threads 를 완전 대체하려고 나온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이고, 경량의 확장이 필요한 Threads를 사용하고자 할때의 대안으로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확인한 장점을 잠시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효율성 : JVTs는 JVM에서 관리하는 Thread로 특정 OS Thread에 바인딩되지 않기 때문에 더 효율적
  • 확장성 : 필요할때마다 생성하고 소멸시킬 수 있기 때문에 Platform Threads 보다 더 확장이 용이. 많은 쓰레드가 필요하고 병행 처리가 중요한 경우에 적합
  • 간편성 : JVM이 관리하는 Thread이기 때문에 생성/소멸이 쉬워서, 개발자의 Thread 사용시의 어려움인 생성/소멸/동기화 관리 같은 걱정을 줄여줌

Project Loom 프로젝트는?

Project Loom 의 프로젝트의 Goal 설명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The goal of this Project is to explore and incubate Java VM features and APIs built on top of them for the implementation of lightweight user-mode threads (fibers), delimited continuations (of some form), and related features, such as explicit tail-call.

간단히 보면 Project Loom은 자바 플랫폼에서 병렬성 및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로 자바 19에서 도입된 Java Virtual Threads (JVTs)를 비롯한 여러 가지 새로운 기능들로 구성된 프로젝트를 연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제 Spring 6 에서 Virtual Threads 를 사용하는 방법(아직까지 Experiment 입니다)을 Baeldung 에서 확인하세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력 개발자의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갑자기 뜬금없이 이런 글을 쓰다니 무슨 생각이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뜬금없음에 대한 변명은 잠시 접어두고 일단 오늘 쓰려고 하는 글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개발자로 대충 16년을 그럭저럭 보내왔습니다. 시대적 상황으로 5년 차쯤에 대리로 처음 팀장을 시작했으니, 일반 개발자로 산 시간보다는 어쨌건 프로젝트 또는 팀의 리더로 산 시간이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 기간 동안 남들보다 좀 심하게 회사를 많이 옮겨 다니다 보니 꽤 많은 면접을 볼 수 있는 경험이 있었고, 또 옮긴 회사가 대부분 팀을 리빌딩하는 곳이었다 보니 꽤 많은 채용절차에 관여할 기회가 있어서 어린 나이부터 비교적 많은 이력서를 검토했고 면접관으로도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처음 면접을 보러 다니던 시절의 제 이력서의 자기소개서는 항상 "19XX년 봄 XX업계에 종사하시던 아버님과 집안일에 헌신적인 어머니의 유복한 가정에 1남 1녀의 막내로..." 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문장에 향수를 느끼시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 경력이 5년이 넘은 어느 날 도대체 이 문장을 왜 써야 하느냐는 의문이 생겨서 조금 바꾸긴 했습니다만, 그 뒤로도 꽤 오랜 세월을 이런 자기소개서가 항상 제 이력서에 붙어있었죠. 요즘 누가 저런 식으로 자기소개서를 써?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실 거로 생각해요. (대신 요즘은 대학 시절의 봉사활동이나 해외연수 이력이... 뭐 어차피 그놈이 그놈입니다.) 저런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는 것이 어디서 어떻게 시작된 것인지는 몰라도 회사를 그만두기 전인 2년 전까지도 약간의 표현은 다를지 모르지만 비슷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자기소개서를 이력서에 첨부해서 보내는 지원자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제가 뜬금없는 이런 글을 쓰게 된 이유를 밝히고 계속 진행해야겠네요. 블로그에 올릴 글을 준비하는 일이 생각보다 힘들어요. 블로그에 올리려고 준비한 주제에 맞는 소스를 작업하고 거기에 글을 입히다 보면 가끔

Springframework 5에서 바뀌는 것들에 대한 간단 정리 및 생각

Spring framework 5 에 대해 많은 분이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계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기대를 하고 계신 분들은 Reactive Programming 지원을 기대하고 계시지 않은가 생각이 드는데요. 7월 초에 John Thompson 이란 분이 D-Zone에 아주 깔끔하고 멋지게 정리를 잘해서 글을 쓰셨더라구요. 해당 글은  https://dzone.com/articles/whats-new-in-spring-framework-5 에서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Spring framework 5에서 달라지는 내용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은 Spring framework github의 wiki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본 포스트는 언제나 그렇듯이 윗글에 대한 번역이 아닙니다. 그저 윗글을 다시 정리하면서 제 생각을 한번 정리해 놓은 포스트입니다. Spring framework 5는 현재 5.0.0.RC2(2017.07.23일 기준)까지 릴리즈된 상황입니다. Spring framework 5에서 크게 변화하는 내용을 John Thompson은 8가지로 깔끔하게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1. JDK 지원 버전의 업데이트 5버전은 원래 JDK 9 버전의 지원을 위해서 시작됐던 프로젝트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JDK 9의 Release가 늦어져서 Spring framework 5가 먼저 Release 될 것으로 보이지만, JDK 9가 Release가 되면 언제건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좀 아쉬운 부분은 JDK의 최소 버전은 JDK 8이라는 부분이 아닐까 싶네요. 이 때문에 Spring framework 5에 무관심한 분들도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JDK 8을 기반으로 합니다만, 최근까지 다니던 회사의 경우는 JDK 7까지가 업그레이드 한계였던 회사였습니다. 아마도 JDK 업그레이드를 쉽게 못 하시는 회사들이 많으니 "나랑은 관계없는 얘기군"

Gradle 을 이용해서 Multiproject 를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

개요 회사에서 Gradle 을 이용하게 된 이래로 계속 Multi-project 형태로 설정하여 진행을 해 오고 있다. 매번 멀티 프로젝트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는 회사의 프로젝트들이다 보니 그때마다 다시 이전 빌드 스크립트를 보면서 만드는데 프로젝트들이 복잡하다보니 필요없는 설정들까지 복사해서 쓰고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한번 정리를 했으면 하고 있었다. 가장 기본적인 상태의 멀티프로젝트용 build.gradle 에 대한 여러가지 방법 중 한가지라 생각하고 참고가 된다면 좋겠다. 요구사항 기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멀티프로젝트는 디렉터리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그룹으로 만들어 질 수 있어야 한다.   - Shared : 다른 프로젝트에서 Dependency로 추가될 수 있는 공통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모듈 그룹   - Web : Front 모듈 그룹   - Server : 주로 어플리케이션 간의 설정 등을 관리하는 Server 모듈 그룹   - Service : Web API 서버 모듈 그룹 2) 모든 Subproject 들은 Java project 이며, 프로젝트 명은 "모듈그룹명-모듈명" 으로 만든다. 즉, Server 모듈의 configuration-server 모듈이라면 server-configuration-server의 형태로 만들어지면 된다. 이후에 작업된 모든 내용은 Ubuntu 14.04 OS와 IntelliJ IDEA 15에서 작업되었다. (윈도우즈와 이클립스에서도 동일한 내용을 동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테스트되지 않았을 뿐이다) Main Gradle Script 작업 1) 파일 구성   - build.gradle : gradle script 파일   - settings.gradle : sub project 관리를 위한 파일 2) build.gradle 파일 작성   - 우선은  프로젝트 기본 정보로 group 정보와 version 을 설정한다. 본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