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Java 9에서 달라진 것들에 대한 좀 지난 영상. 그래도 참고할만 합니다.

정말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최근 진행하던 작업이 거의 막바지 기능들에 대한 작업이 진행 중인데 설계도 잘 잡히지 않아서 좀 심란한 상황이라 블로그에 글 올릴 여력이 없었네요. 게다가 명절이 다가오고 하다보니 아직 수입이 없는 저에게는 이래저래 많이 심란한 시기였습니다. 뭐 변명 여기까지 하고..

최근 제 작업이나 다른 상황보다 저에게 큰 혼란은 다른 것이었습니다.

바로 봇물 터지듯이 터져 나오는 릴리즈 상황들이었는데요... 이모든 것의 원흉은 바로 Java 9 입니다.

말 많고 탈 많았던 Java 9이 드디어 정식 릴리즈를 하고 말았더군요.
그에 발맞춰서 Springframework도 "많이 기다렸습니다!!! 이제 우리도 릴리즈해요!!!"라면서 Springframework 5.0을 정식릴리즈를 했지요.
아직은 Spring Boot 라던가 Spring IO 같은 프로젝트들은 Springframework 5 지원 버전을 정식 릴리즈하지는 않은 것 같지만 대부분 릴리즈에 가까운 단계인 것 같으니 곧 줄줄이 쏟아져 나오겠지요.

저 같은 게으른 프로그래머는 아직 Java 8의 Functional이나 Lambda 등등 제대로 사용도 못 하고 공부도 거의 안 하고 있지만, 결국 저들에게 익숙해져야 하겠지요? Reactive도 의도적이랄까 귀찮아서랄까 멀리하려고 노력하면서 찔끔찔끔 공부해 왔습니다만, 좀 더 적극적으로 달려들 때가 온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하늘은 어째서 저에게 이런 시련을 내려주시는 걸까요? (헤헤헤)

저같이 게을러서 아직 Java 9 을 멀리하셨던 프로그래머가 있으시다면 2017년 상반기에 있었던 DEVOX에서 있었던 Java 9 에 대한 동영상 두 개를 추천해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55 New Features In JDK 9"을 보시고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신 후에 "Real World Java 9"을 보시는 것을 추천해 드리지만 각각 동영상이 52분과 55분 정도이므로 후자만 보시는 방법도 있을 것 같습니다.
Simon Ritter의 영상은 프리젠테이션을 이용한 이론적인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어 저게 무슨 소리지? 하는 부분들이 많이 있지만, Java 9 의 달라진 부분들을 꽤 잘 정리해서 설명해 줍니다. 일단은 설명은 둘째치고 프리젠테이션의 제목들만 훑어도 꽤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반면 Trisha의 동영상은 좀 더 라이브 코딩에 가깝습니다. 그녀의 Github에는 실제 코드도 있으니 많은 참고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좀 지난 동영상이라 현재 정식 발표된 시점의 상황과 맞지 않는 부분들도 있지만, 그냥 정리하는 용도로는 충분한 가치가 있는 동영상이라는 생각에 공유해봅니다.

55 New Features In JDK 9 

Simon Ritter
- Deputy CTO of Azul Systems.
- LinkedIn : https://www.linkedin.com/in/siritter/
- Tweeter : https://twitter.com/speakjava

(2017.04.11, 51:46)


Real World Java 9 

Trisha Gee
- Developer Advocate at JetBrains
- LinkedIn : https://www.linkedin.com/in/trishagee/
- Tweeter : https://twitter.com/trisha_gee
- Github : https://trishagee.github.io/


(2017.05.17, 54:55)

Building Java 9 Modules

Trisha 동영상에서 Gradle이 Java 9 지원에 문제가 있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만, 현재 시점에서는 이 부분은 해결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면서 실습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력 개발자의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갑자기 뜬금없이 이런 글을 쓰다니 무슨 생각이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뜬금없음에 대한 변명은 잠시 접어두고 일단 오늘 쓰려고 하는 글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개발자로 대충 16년을 그럭저럭 보내왔습니다. 시대적 상황으로 5년 차쯤에 대리로 처음 팀장을 시작했으니, 일반 개발자로 산 시간보다는 어쨌건 프로젝트 또는 팀의 리더로 산 시간이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 기간 동안 남들보다 좀 심하게 회사를 많이 옮겨 다니다 보니 꽤 많은 면접을 볼 수 있는 경험이 있었고, 또 옮긴 회사가 대부분 팀을 리빌딩하는 곳이었다 보니 꽤 많은 채용절차에 관여할 기회가 있어서 어린 나이부터 비교적 많은 이력서를 검토했고 면접관으로도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처음 면접을 보러 다니던 시절의 제 이력서의 자기소개서는 항상 "19XX년 봄 XX업계에 종사하시던 아버님과 집안일에 헌신적인 어머니의 유복한 가정에 1남 1녀의 막내로..." 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문장에 향수를 느끼시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 경력이 5년이 넘은 어느 날 도대체 이 문장을 왜 써야 하느냐는 의문이 생겨서 조금 바꾸긴 했습니다만, 그 뒤로도 꽤 오랜 세월을 이런 자기소개서가 항상 제 이력서에 붙어있었죠. 요즘 누가 저런 식으로 자기소개서를 써?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실 거로 생각해요. (대신 요즘은 대학 시절의 봉사활동이나 해외연수 이력이... 뭐 어차피 그놈이 그놈입니다.) 저런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는 것이 어디서 어떻게 시작된 것인지는 몰라도 회사를 그만두기 전인 2년 전까지도 약간의 표현은 다를지 모르지만 비슷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자기소개서를 이력서에 첨부해서 보내는 지원자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제가 뜬금없는 이런 글을 쓰게 된 이유를 밝히고 계속 진행해야겠네요. 블로그에 올릴 글을 준비하는 일이 생각보다 힘들어요. 블로그에 올리려고 준비한 주제에 맞는 소스를 작업하고 거기에 글을 입히다 보면 가끔

Springframework 5에서 바뀌는 것들에 대한 간단 정리 및 생각

Spring framework 5 에 대해 많은 분이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계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기대를 하고 계신 분들은 Reactive Programming 지원을 기대하고 계시지 않은가 생각이 드는데요. 7월 초에 John Thompson 이란 분이 D-Zone에 아주 깔끔하고 멋지게 정리를 잘해서 글을 쓰셨더라구요. 해당 글은  https://dzone.com/articles/whats-new-in-spring-framework-5 에서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Spring framework 5에서 달라지는 내용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은 Spring framework github의 wiki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본 포스트는 언제나 그렇듯이 윗글에 대한 번역이 아닙니다. 그저 윗글을 다시 정리하면서 제 생각을 한번 정리해 놓은 포스트입니다. Spring framework 5는 현재 5.0.0.RC2(2017.07.23일 기준)까지 릴리즈된 상황입니다. Spring framework 5에서 크게 변화하는 내용을 John Thompson은 8가지로 깔끔하게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1. JDK 지원 버전의 업데이트 5버전은 원래 JDK 9 버전의 지원을 위해서 시작됐던 프로젝트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JDK 9의 Release가 늦어져서 Spring framework 5가 먼저 Release 될 것으로 보이지만, JDK 9가 Release가 되면 언제건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좀 아쉬운 부분은 JDK의 최소 버전은 JDK 8이라는 부분이 아닐까 싶네요. 이 때문에 Spring framework 5에 무관심한 분들도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JDK 8을 기반으로 합니다만, 최근까지 다니던 회사의 경우는 JDK 7까지가 업그레이드 한계였던 회사였습니다. 아마도 JDK 업그레이드를 쉽게 못 하시는 회사들이 많으니 "나랑은 관계없는 얘기군"

Gradle 을 이용해서 Multiproject 를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

개요 회사에서 Gradle 을 이용하게 된 이래로 계속 Multi-project 형태로 설정하여 진행을 해 오고 있다. 매번 멀티 프로젝트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는 회사의 프로젝트들이다 보니 그때마다 다시 이전 빌드 스크립트를 보면서 만드는데 프로젝트들이 복잡하다보니 필요없는 설정들까지 복사해서 쓰고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한번 정리를 했으면 하고 있었다. 가장 기본적인 상태의 멀티프로젝트용 build.gradle 에 대한 여러가지 방법 중 한가지라 생각하고 참고가 된다면 좋겠다. 요구사항 기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멀티프로젝트는 디렉터리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그룹으로 만들어 질 수 있어야 한다.   - Shared : 다른 프로젝트에서 Dependency로 추가될 수 있는 공통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모듈 그룹   - Web : Front 모듈 그룹   - Server : 주로 어플리케이션 간의 설정 등을 관리하는 Server 모듈 그룹   - Service : Web API 서버 모듈 그룹 2) 모든 Subproject 들은 Java project 이며, 프로젝트 명은 "모듈그룹명-모듈명" 으로 만든다. 즉, Server 모듈의 configuration-server 모듈이라면 server-configuration-server의 형태로 만들어지면 된다. 이후에 작업된 모든 내용은 Ubuntu 14.04 OS와 IntelliJ IDEA 15에서 작업되었다. (윈도우즈와 이클립스에서도 동일한 내용을 동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테스트되지 않았을 뿐이다) Main Gradle Script 작업 1) 파일 구성   - build.gradle : gradle script 파일   - settings.gradle : sub project 관리를 위한 파일 2) build.gradle 파일 작성   - 우선은  프로젝트 기본 정보로 group 정보와 version 을 설정한다. 본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