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Semantic Versioning 2.0.0 에 대한 자료 정리

Gradle이라던가 Maven을 이용한 빌드 시스템을 구축하고 NEXUS 등의 리포지터리를 이용하고 Git 을 쓰면서 개발을 하다 보면 예전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던 개발하고 있는 시스템의 버전관리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최소한 저의 경우는 그랬습니다)
혹시라도 공통 라이브러리 패키지가 있을때는 공통 라이브러리에 대한 버전관리가 예전부터도 중요하게 생각되었었지만, 최근에는 이 공통 라이브러리 패키지를 이용하지 않는데도 버전관리가 예전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이 됩니다.
다른 부분들은 그렇다 쳐도 Git을 이용해서 형상관리를 하는 경우에는 특정 커밋에 태깅을 해 놓는 것이 나중에 해당 버전의 상태를 추적하는데 매우 편리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버전관리에서 최근 가장 많이 쓰는 방식이 Semantic Versioning 이라고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최근이라고 하지만 사실 예전부터 많이 사용됐었고 Semantic Versioning 이라는 개념을 몰라도 일반적으로 비슷하게 사용하는 x.y.z이라는 Major.Minor.Patch 방식의 버전관리입니다. 예를 들어 "릴리즈 최초버전은 1.0.0이다" 가 바로 Semantic Versioning(줄여서 semver 라고도 하더군요) 입니다.

다른 내용에 대해 검색을 하다가 우연히 해당 Semantic Versioning 에 대한 공식 문서를 찾았습니다.
semver 는 일반적으로 Public API에 대한 버전관리에 대해서 설명을 합니다만, 일반적인 프로그램에도 같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가장 중요한 내용을 정리한다면,


  • 기존 버전과 호환되지 않게 변경을 했다면 Major 버전
  • 기존 버전에 새로운 기능이나 호환이 가능한 수정을 했다면 Minor 버전
  • 기존 버전의 버그에 대해서 호환 가능하게 수정을 했다면 Patch 버전
(해당 버전) 부분을 하나씩 증가시킨다는 규칙을 말합니다.

일반 서비스를 개발하시는 분들의 경우는 조금 다를 수도 있겠네요. 저희도 제한적인 웹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보니 일반적인 Public API와는 조금 다르게 적용이 됩니다.(서비스 초반에 잠깐 하다가 현재는 안 하고 있는 상황인데, 앞으로는 좀 잘해 보려 합니다.) Minor와 Patch는 같은 방식으로 버전관리가 가능하지만 Major의 경우에는 회사에서 정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이번 프로젝트는 버전 2로 명명한다. 그리고 몇 달 또는 1년쯤 지난 후에 이번 개발부터 버전 3 로 명명할 거야." 라는 식으로 Major가 결정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어찌 됐건 개인적으로 생각할 때는 Minor와 Patch 버전만 관리 한다 해도 Git에 태깅되어있는 버전번호를 보면 이 릴리즈가 버그 수정의 Patch 수준이었는지 신규 기능이 추가되었거나 대규모 수정의 수준이었는지에 대한 파악이 될 수 있으니 매우 유용합니다. 저희처럼 버전관리가 대충이거나 하지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하는 분들은 한 번쯤 내용을 보시고 도입을 검토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아 보이네요. (아마도 대부분 이 방식을 쓰고 있다고 생각이 되긴 하네요)

사실 저희 다음 프로젝트에 적용할 때 참고하고자 블로그에 올리면서 잠시 주절거려봤습니다.

제가 검색할 당시에 대략 18개 언어로 번역되어 서비스되고 있는듯하고 물론 한국어도 있습니다. (한국어 번역은 김대현님이 하셨네요. 감사합니다.)

한국어판 링크 : http://semver.org/lang/ko/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경력 개발자의 자기소개서에 대해서...

갑자기 뜬금없이 이런 글을 쓰다니 무슨 생각이야?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뜬금없음에 대한 변명은 잠시 접어두고 일단 오늘 쓰려고 하는 글을 시작해볼까 합니다. 개발자로 대충 16년을 그럭저럭 보내왔습니다. 시대적 상황으로 5년 차쯤에 대리로 처음 팀장을 시작했으니, 일반 개발자로 산 시간보다는 어쨌건 프로젝트 또는 팀의 리더로 산 시간이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 기간 동안 남들보다 좀 심하게 회사를 많이 옮겨 다니다 보니 꽤 많은 면접을 볼 수 있는 경험이 있었고, 또 옮긴 회사가 대부분 팀을 리빌딩하는 곳이었다 보니 꽤 많은 채용절차에 관여할 기회가 있어서 어린 나이부터 비교적 많은 이력서를 검토했고 면접관으로도 여러 사람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처음 면접을 보러 다니던 시절의 제 이력서의 자기소개서는 항상 "19XX년 봄 XX업계에 종사하시던 아버님과 집안일에 헌신적인 어머니의 유복한 가정에 1남 1녀의 막내로..." 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문장에 향수를 느끼시는 분들 많으실 거예요. ^^). 경력이 5년이 넘은 어느 날 도대체 이 문장을 왜 써야 하느냐는 의문이 생겨서 조금 바꾸긴 했습니다만, 그 뒤로도 꽤 오랜 세월을 이런 자기소개서가 항상 제 이력서에 붙어있었죠. 요즘 누가 저런 식으로 자기소개서를 써?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많으실 거로 생각해요. (대신 요즘은 대학 시절의 봉사활동이나 해외연수 이력이... 뭐 어차피 그놈이 그놈입니다.) 저런 자기소개서를 써야 한다는 것이 어디서 어떻게 시작된 것인지는 몰라도 회사를 그만두기 전인 2년 전까지도 약간의 표현은 다를지 모르지만 비슷한 문장으로 시작하는 자기소개서를 이력서에 첨부해서 보내는 지원자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제가 뜬금없는 이런 글을 쓰게 된 이유를 밝히고 계속 진행해야겠네요. 블로그에 올릴 글을 준비하는 일이 생각보다 힘들어요. 블로그에 올리려고 준비한 주제에 맞는 소스를 작업하고 거기에 글을 입히다 보면 가끔

Springframework 5에서 바뀌는 것들에 대한 간단 정리 및 생각

Spring framework 5 에 대해 많은 분이 기대와 두려움을 가지고 계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특히 기대를 하고 계신 분들은 Reactive Programming 지원을 기대하고 계시지 않은가 생각이 드는데요. 7월 초에 John Thompson 이란 분이 D-Zone에 아주 깔끔하고 멋지게 정리를 잘해서 글을 쓰셨더라구요. 해당 글은  https://dzone.com/articles/whats-new-in-spring-framework-5 에서 확인을 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Spring framework 5에서 달라지는 내용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신 분들은 Spring framework github의 wiki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본 포스트는 언제나 그렇듯이 윗글에 대한 번역이 아닙니다. 그저 윗글을 다시 정리하면서 제 생각을 한번 정리해 놓은 포스트입니다. Spring framework 5는 현재 5.0.0.RC2(2017.07.23일 기준)까지 릴리즈된 상황입니다. Spring framework 5에서 크게 변화하는 내용을 John Thompson은 8가지로 깔끔하게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1. JDK 지원 버전의 업데이트 5버전은 원래 JDK 9 버전의 지원을 위해서 시작됐던 프로젝트로 알고 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JDK 9의 Release가 늦어져서 Spring framework 5가 먼저 Release 될 것으로 보이지만, JDK 9가 Release가 되면 언제건 적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좀 아쉬운 부분은 JDK의 최소 버전은 JDK 8이라는 부분이 아닐까 싶네요. 이 때문에 Spring framework 5에 무관심한 분들도 많으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진행하는 프로젝트는 JDK 8을 기반으로 합니다만, 최근까지 다니던 회사의 경우는 JDK 7까지가 업그레이드 한계였던 회사였습니다. 아마도 JDK 업그레이드를 쉽게 못 하시는 회사들이 많으니 "나랑은 관계없는 얘기군"

Gradle 을 이용해서 Multiproject 를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

개요 회사에서 Gradle 을 이용하게 된 이래로 계속 Multi-project 형태로 설정하여 진행을 해 오고 있다. 매번 멀티 프로젝트 형태로 만들어지고 있는 회사의 프로젝트들이다 보니 그때마다 다시 이전 빌드 스크립트를 보면서 만드는데 프로젝트들이 복잡하다보니 필요없는 설정들까지 복사해서 쓰고 있는 부분들이 있어서 한번 정리를 했으면 하고 있었다. 가장 기본적인 상태의 멀티프로젝트용 build.gradle 에 대한 여러가지 방법 중 한가지라 생각하고 참고가 된다면 좋겠다. 요구사항 기본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1) 멀티프로젝트는 디렉터리를 기반으로 아래와 같이 그룹으로 만들어 질 수 있어야 한다.   - Shared : 다른 프로젝트에서 Dependency로 추가될 수 있는 공통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라이브러리 모듈 그룹   - Web : Front 모듈 그룹   - Server : 주로 어플리케이션 간의 설정 등을 관리하는 Server 모듈 그룹   - Service : Web API 서버 모듈 그룹 2) 모든 Subproject 들은 Java project 이며, 프로젝트 명은 "모듈그룹명-모듈명" 으로 만든다. 즉, Server 모듈의 configuration-server 모듈이라면 server-configuration-server의 형태로 만들어지면 된다. 이후에 작업된 모든 내용은 Ubuntu 14.04 OS와 IntelliJ IDEA 15에서 작업되었다. (윈도우즈와 이클립스에서도 동일한 내용을 동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테스트되지 않았을 뿐이다) Main Gradle Script 작업 1) 파일 구성   - build.gradle : gradle script 파일   - settings.gradle : sub project 관리를 위한 파일 2) build.gradle 파일 작성   - 우선은  프로젝트 기본 정보로 group 정보와 version 을 설정한다. 본인의